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자연과학4

우주를 향한 소행성탐사 프로젝트 - 하야부사 (HAYABUSA) 하야부사 (HAYABUSA)일본 우주강국의 비밀 ■ 저자 : 츠다 유이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JAXA 우주비상공학연구계열 교수) ■ 출판사 : 동아시아 하야부사는 맹금류 매를 뜻하는 단어로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 이름이다. 생명의 기원, 별의 부스러기를 채취하라!! 별의 부스러기라니, 처음부터 낭만적인 타이틀이 흥미롭게 들린다. 그러나 하야부사는 이런 낭만적인 감성과는 별개로 목표한 소행성의 표본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해야 하는 엄청난 미션을 담고 있는 우주 프로젝트다. 하야부사 프로젝트는 2003년 1호기 성공에 힘입어 2009년 2번째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하야부사 1호기가 그동안 소행성 표본을 얻기 위한 길을 닦았다면, 이번 2호기는 본격적으로 소행성 표본 회수라는 한 층 더 어려운 기술로 발전된 과.. 2024. 5. 31.
진화 관념의 기원을 찾아 - 진화의 오리진 (존 그리빈, 메리 그리빈 / 진선출판사) 진화의 오리진 (On the Origin of Evolution)저자 : 존 그리빈, 메리 그리빈출판사 : 진선 Books 저자소개 진화의 오리진은 존 그리빈과 메리 그리빈이 공동으로 저술한 책이다. 책의 저자 소개란에서 보면, 저자 존 그리빈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천체물리학자로, 현재는 과학 도서 작가로 활동하며 「다중우주를 찾아서」와 「우주」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썼다고 한다.  또 한 사람 메리 그리빈은 교육자이면서 아동청소년 과학도서를 쓰는 작가로 「시간과 우주」라는 책으로 'TES 어린이 정보도서상'을 받았을 정도로 어려운 개념을 쉽게 잘 풀어 전달하는 재능이 뛰어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진화의 관념은 어디서부터 시작이 되었을까?  진화의 오리진은 진화 생물학에 .. 2024. 4. 30.
프시케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여성과학자 - 린디 엘킨스탠턴의 ‘젊은 여성과학자의 초상’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질문은 내가 캄캄한 어둠 속에서 팔을 뻗어 주변을 이해하는 방식이었다 타인의 삶을 지켜보다 보면, 나는 가끔 미지근했던 가슴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것을 느낀다. 삶은 누구에게나 미지의 세계고 그곳에 발을 내딛을 땐, 홀로 적막한 어둠을 먼저 맞이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우리는 무엇으로 이겨낼 수 있을까? 과학이 발전하면서 우리는 우주의 관점에서 인간의 존재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우주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이 부여하는 의미들은 한 없이 축소된다. 아니, 사라진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 광활한 우주가 주는 무의미 덕분에 인간은 삶의 애착에서 자유로워지고, 죽음까지도 넘어설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문제는 그다음, 그 너머에 있다. 나는 그 너.. 2024. 1. 2.
칼 세이건 - 코스모스 (개념정리) 코스모스과학 교양서의 고전『코스모스』. 이 책에서 저자는 우주의 탄생과 은하계의 진화, 태양의 삶과 죽음, 우주를 떠돌던 먼지가 의식 있는 생명이 되는 과정, 외계 생명의 존재 문제 등에 관한 내용을 수 백장의 사진과 일러스트를 곁들여 흥미롭게 설명한다. 현대 천문학을 대표하는 저명한 과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난해한 개념을 명쾌하게 해설하는 놀라운 능력을 마음껏 발휘한다. 그는 에라토스테네스, 데모크리토스, 히파티아, 케플러, 갈릴레오, 뉴턴, 다윈 같은 과학의 탐험가들이 개척해 놓은 길을 따라가며 과거, 현재, 미래의 과학이 이뤘고,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 이룰 성과들을 알기 쉽게 풀이해 들려준다. 그리고 과학의 발전을 심오한 철학적 사색과 엮어 장대한 문명사적 맥락 속에.. 2023. 5. 17.
728x90